표본을 만드는 방법은 제작자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표본을 관찰할 때 세부구조가 곤충의 다른 부위에 의해 가려지거나 표본제작에 이용된 접착제 등 이물질에 의해 가려져서 안되는 등 관찰에 편리해야 한다는 원칙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표본은 이용하기 편리해야 하고 파손 위험이 적어야 한다. 아름답게 만들어 미적 가치 또한 지닐 수 있다면, 더욱 좋다.
대부분의 곤충은 건조표본으로 보관하며 몸이 연하거나 건조시켰을 경우 파손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액침표본으로 보관한다. 그리고 영구적으로 보관할 필요가 있거나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세밀한 관찰이 필요한 경우에는 슬라이드 표본을 제작한다.
라벨의 의미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곤충 표본을 제작, 관리하는 것은 우리가 그 표본을 통해 유용한 생물학적 정보를 얻기위한 것이므로 , 채집 자료를 적은 라벨이 없는 표본은 그 곤충이 아무리 아름답고 희귀할 지라도 분류학적인 연구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만 곤충의 사체를 모아 둔것에 지나지 않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