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본을 만드는 방법은 제작자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표본을 관찰할 때 세부구조가 곤충의 다른 부위에 의해 가려지거나 표본제작에 이용된 접착제 등 이물질에 의해 가려져서 안되는 등 관찰에 편리해야 한다는 원칙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표본은 이용하기 편리해야 하고 파손 위험이 적어야 한다. 아름답게 만들어 미적 가치 또한 지닐 수 있다면, 더욱 좋다.
대부분의 곤충은 건조표본으로 보관하며 몸이 연하거나 건조시켰을 경우 파손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액침표본으로 보관한다. 그리고 영구적으로 보관할 필요가 있거나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세밀한 관찰이 필요한 경우에는 슬라이드 표본을 제작한다.
표본을 만들고 보관하는 가장 편리한 방법은 액침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지만, 액침 상태의 표본은 관찰하기가 매우 불편합니다. 따라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건조표본으로 만드는 것이 관찰에 유리합니다.
표본을 만들고 보관하는 가장 편리한 방법은 액침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지만, 액침 상태의 표본은 관찰하기가 매우 불편합니다. 따라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건조표본으로 만드는 것이 관찰에 유리합니다.
죽은지 얼마 안되거나 살아 있는 것을 바로 슬라이드 표본으로 만드는 경우엔 90-96% 에탄올에 채집물을 넣고 물중탕으로 끓여 연약한 몸이 처리과정중 상처를 입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 시킵니다.
슬라이드 표본을 만들려면 먼저 딱딱하게 굳어버린 채집물을 부드럽게 만들어 주어야 하며, 표본제작 후 편리하게 관찰하려면 적절히 탈색을 시켜서 분류 및 동정에 사용되는 형질이 잘 보일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이 과정은 KOH처리로 동시에 일어난다.
탈색 및 연화는 채집물이 반쯤 투명하게 될 때까지 실시하므로 곤충의 종류에 따라서 걸리는 시간이 다릅니다. 그리고, KOH의 온도에 따라서도 탈색 및 연화에 걸리는 시간에 차이가 있습니다. 끓는 상태에서는 그 속도가 매우 빨라서 수분 내지 십수분이지만, KOH를 차가운 상태로 두면 수시간에서 수일까지도 걸리기도 합니다.
그런 다음 50% lactic acid에 하루 이상 놓아두거나, lactic acid에 넣은 채 85-90℃ 물중탕으로 몇분동안 끓여 주면 표본이 깨끗한 상태가 되며 이 표본들은 mounting을 할 때까지 50% lactic acid에 보관합니다.
Mounting에 사용하는 물질들은 많이 있지만, 완전무결한 것은 없으므로 채집물의 종류와 표본제작 목적에 따라 적당한 것을 사용하면 됩니다.
임시 슬라이드 표본을 만들 때 주로 쓰입니다. 이들을 사용하면 만들기가 쉬운 것 이외에도 굴절률이 낮아 (예를 들면 물의 굴절률은 1.33에 지나지 않는다) 아주 미세한 부분까지 관찰이 가능하여 미소곤충의 1령충의 형질까지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 대신 증발이 빠른 단점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오목 슬라이드를 이용합니다.Cavity 양쪽에 20×20㎜ 커버글라스 두개를 고정시키되, 이들 사이에 약 2㎜ 정도의 공간을 남겨 둡니다. 그 공간을 활용하여 증류수를 넣어 주고 마르면 보충한다. 만일 관찰을 잠시 중단해야 할 필요가 있으면 습기가 가득한 곳에 보관합니다.
캐나다 발삼은 안전성이 뛰어나고 건조시켰을 때 그 부피가 약 10% 정도밖에 줄어들지 않지만 굴절률이 높은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보통 표본은 PVA를 사용하고, type 표본등 중요한 것은 캐나다 발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집합니다.
PVA를 사용하면 삼투압으로 인해 키틴질이 파열되는 수가 있으므로 만일 클리어링을 할 때 표본에 상처를 내 주지 않았다면, 복부 적당한 위치에 작은 구멍을 뚫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