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의류 채집 및 동정
사진 촬영
현장에서 관찰한 지의류는 생장 형태에 따라 촬영 방법이 다르다.
사진 번호 |
1 |
2 |
3 |
4 |
5 |
촬영 부위 |
지의체 전체 |
앞면 |
뒷면 |
기저부 |
측면 |
생장 형태 |
가상지의류 |
- |
- |
- |
엽상지의류 |
- |
- |
수지상지의류 |
가상지의류와 엽상지의류
- 지의체 전체 : 가장자리 윤곽과 자실체(자낭반,자낭각)를 포함해 촬영
- 지의체 앞면 : 무성번식체인 분아(soredia)와 열아(isidia), 흰색결정체(pruina), 토멘텀(tomentum) 등이 확인될 경우 확대 촬영
- 지의체 뒷면: 표면 색, 가근(rhizine), 세모(cilia), 가배점(pseudocyphella), 배점(cyphella) 등이 확인될 경우 확대 촬영
수지상지의류
- 지의체 전체, 앞면, 뒷면 : 고착·가상지의류와 엽상지의류 촬영방법과 동일
- 지의체 기저부 : 기물(석조문화재)에 부착된 지의체 바닥
- 지의체 측면 : 엽체(thallus), 자병(podetia), 자실체, 분아, 열아 등이 확인될 경우 확대 촬영
채집준비물
카메라, 채집 봉투(플라스틱 봉투를 제외한 통풍이 가능한 일반 종이, 신문지 등), 구두칼(대, 중, 소), 분무기, 물, 유성펜이나 연필, GPS측정기 등을 준비한다.
[ 지의류 채집 준비물 ]
채집방법
석재에 부착한 지의류는 비온 뒤에 채집하는 것을 추천하며, 지의체에 물을 분무한 뒤에 구두칼을 이용해 분리한다.
표본의 크기와 모양은 중요하지 않지만, 지의체의 선단을 포함시켜 피자 조각 모양으로 채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그러나 가상지의류는 지의체와 석재간 분리가 쉽지 않으므로 자실체부위를 중심으로 구두칼로 긁어낸다.
채집 봉투에 채집 번호, 채집 날짜, 지의류 가동정명, 채집 지역, 기물명, GPS 정보 등을 표기한다.


[ 지의류 동정 과정 모식도 ]
동정방법
분류학적 연구(Taxonomical study)와 분자생물학적 연구(Phylogenic study)를 통해 동정한다.
- 분류학적 연구 : 형태학적 동정(외부 형태 및 구조), 해부학적 동정(현미경적 미세구조 특성), 화학적 동정(정색반응_K(5% 수산화칼륨), P(파라페닐렌디아민), C(치아염소산나트륨:가정용락스)용액, 지의 성분 검출 및 분석_TLC(Thin Layer Chromatography)
- 분자생물학적 연구 : ITS1, ITS2 & 5.8SrDNA 영역을 이용한 계통수 분석

[ 지의류 동정 과정 모식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