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골짝 양지에서 자란다.
▶습기가 적절히 유지될 수 있는 재배지에서는 강한 광선없이 잘 자란다. 과다한 시비는 식물체를 도장시키고 개화상태를 나쁘게 하므로 주의한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넓은 달걀모양이고 점차 좁아져서 끝이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 5-10cm, 폭 3-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앞면은 진한 녹색이나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줄기에 난 잎은 자루가 짧거나 없다. 화경 밑부분의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작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예두 심장저이지만 엽병으로 흘러서 날개처럼 되는 것도 있다.
꽃대는 높이 30-80cm이다.꽃은 6~7월경에 피며 이삭꽃차례로 달리고 화경 끝에서 길이 3-8cm의 원주형 화수(花穗)가 발달한다. 꽃받침은 연한 홍색 또는 백색이고 길이 3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없고 꽃자루가 약간 길다. 수술은 8개로서 꽃받침보다 약간 길며 꽃밥은 연한 홍자색이고 수술대 밑부분에 작은 선(腺)이 있다. 씨방은 3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9월경에 채취한 종자를 습기가 있는 파종상에 곧바로 채파하고 짚이나 가랑잎 등으로 적절히 멀칭하였다가 이듬해 봄(4월초)에 제거해 주면 발아가 잘 된다. 또는 4월초에 근경을 캐 적당한 수의 눈을 붙여 예리한 칼로 잘라 심으면 증식이 잘된다.
▶흰범꼬리(B. incana): 줄기잎은 잎자루가 짧거나 없고 뒷면에 흰색 털이 밀생하여 은백색을 띤다.
▶가는범꼬리(B. major S. F. Gray var. angustifolia): 범꼬리에 비해 잎이 좁고,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다.
▶이른범꼬리(B. tenuicaulis): 근생엽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 뒷면은 다소 흰색, 잎자루는 길다.
▶씨범꼬리(B. vivipara): 근경은 굵고 짧다. 근생엽은 피침형, 긴 타원상 피침형이다.
Distribution
Northern and High Mountain In Eurasia/ Widely Distributed Across Country
Stems
Whole Parts Glabrous or Back Sides Of Leaves Have White Hairs
Leaves
Radical Leaves Wide Ovate, Become Narrowed and Apex Acute, Base Cordate, Margins Smooth, Fronts Deep Green and Back Sides Light Green, Cauline Leaves Alternate, Become Smaller Close To Uppersides, Lanceolate, Apex Acute and Base Cordate
Inflorescences
Spike, Cylindercal
Habit
Sunny Place In Mountain Valley
English common name
Asian Bistort
Life cycle
Perennial
Flowering
Jun.-Jul.
Height
Peduncles 30-80cm
Root
Rhizomes Short and Incrassate, Grow Out Many Rootlets, Dark Brown
Flower color
Light Red or White
Fruit
Achene, Ovate Round, Surrounded Calyx, Glossy and Have 3 Ridges
Use
ornamental, Edible, Medicine(Tetanus, Abscess, Stomatiti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