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명
-
팽나무
[비추천명 : 둥근잎팽나무]
- 학명
- Celtis sinensis Pers.
- 과명
- 앵글러 - 느릅나무과 (Ulmaceae)
APG Ⅳ- 삼과 (Cannabaceae)
- 일본명
- エノキ
- 영문명
- East Asian hackberry
일반정보
형태
낙엽활엽교목, 수형:원개형(가지의 신장은 분산형)
분포
중국, 일본; 경기도와 강원특별자치도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 산발적으로 분포하지만 주로 경상도와 전라도의 표고 50~1,100m지역에 분포.
생육환경
▶평지에서 자란다.
▶양지와 음지를 가리지 않으며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성장이 빠른 편이고 평탄하고 깊은 땅을 좋아하며 상당히 습한 곳에서도 견딘다. 내한성과 내공해성,내염성 등이 강하고 적응능력이 뛰어난 수종이다.
▶뿌리가 잘 발달되어 있어 강풍과 해풍에도 강하며 내염성이 있어 동해안 일대에서 좋은 생육을 보이고 있다.
크기
높이 20m, 지름 1m.
잎
잎은 어긋나기로 길이 4~11cm, 폭 3 ~ 5cm로서 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첨두 예저이고 좌우가 약간 비틀어져 있다. 상반부에 거치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표면이 거칠며 측맥은 3~4쌍이다. 잎자루는 길이 2~12mm로서 털이 있다.
꽃
꽃은 잡성주로서 5월에 피고 수꽃차례는 새가지의 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취산꽃차례로 수술은 4개이다. 암꽃은 새가지 윗부분에 1~3개씩 달리고 수꽃은 하부에 맺힌다.4개의 화피열편, 4개의 작은 수술,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대는 2개로 갈라져 뒤로 젖혀진다.
열매
핵과는 둥글고 지름 7~8mm로서 약간 붉은색이 강한 노란색이며 10월에 성숙한다. 과육은 달고 먹을 수 있다. 열매자루는 길이 6~15mm로서 잔털이 있다.
줄기
높이 20m, 지름 1m이며 줄기가 직립하고 가지가 넓게 퍼지며 나무껍질이 흑갈색이고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밀생한다.
뿌리
원뿌리가 있으며, 곁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수피
나무껍질이 흑갈색이다.
가지
가지가 넓게 퍼지며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밀생한다.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및 무성생식으로 한다.
①실생 : 10월에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노천매장하기 전에 농황산에 처리하여 씨껍질을 얇게 해주는 것이 좋다.
②무성생식 : 접목은 2년생의 실생묘를 대목으로 하여 초봄에 설접(舌接) 또는 절접(切接)을 한다. 삽목은 초봄에 휴면지를 꽂는다.
재배특성
이식이 용이하고 가지를 전정해서 나무 모양을 다듬어 줄 수 있다.
보호방안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자생지의 보호뿐만 아니라, 관리시 주의가 요구된다.
유사종
▶섬팽나무(for. magnifica NAK.): 도란상 긴타원모양의 노목에서 길이 11㎝에 이르고 엽병의 길이가 15-16㎜에 달한다. 외나로도(外羅老島)에 난다.
▶둥근잎팽나무(for. rotundata NAK.): 잎이 둥글며 거의 절저이고 갑자기 끝이 뾰족해진다.제주특별자치도와 전남 해남등지에 난다.
▶검팽나무(C. choseniana NAK.): 열매가 검게 익는다.
▶노랑팽나무(C. edulis NAK.): 잎의 끝이 결각상으로 되고 열매가 노랗게 익는다.
▶자주팽나무(for.purpurascens NAK.): 어린 잎이 자주색에서 자록색으로 된다. 충무시에 자란다.
▶산팽나무(C. aurantiaca Nak.)
▶왕팽나무(C. koraiensis Nak.)
▶장수팽나무(C. cordifolia Nak.): 잎의 하반부에도 거치가 있고 잎이 둥글다.
특징
▶팽나무는 느티나무와 함께 마을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향토수종이다. 수세가 강건하고 입지에 대한 요구가 까다롭지 않으며 맹아력이 좋다.
▶우리나라의 정자목중 느티나무 다음으로 많이 심어져 있는 수종이다.
▶천연기념물
②제 82호 - 전라남도 무안군 청천리의 팽나무와 개서어나무의 줄나무, 면적 : 5,544㎡, 지정사유:인공방풍림의 역사적 유물
③제161호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읍리의 팽나무는 느티나무와 함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④제309호 - ⓐ소재지: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동 ⓑ면적:1주 314㎡ ⓒ지정사유:노거수 ⓓ수령:500년
English Contents
Distribution
China, Japan , Korea(Widely distributed across country, except Gyeonggi-do, Gangwon-do, usually grow 50-1,100m above the sea level in Gyeongsang-do, Jeolla-do)
Stems
Erect, branches diffuse
Leaves
Alternate, ovate, elliptic or oblong, apex cuspidate and base acute, little oblique. Uppersides have some teeth, both sides have haris but disappear gradually, surface rough and petioles have hairs
Inflorescences
Polygamous, staminate flowers cyme, bearing twig axils. Pistillate flowers bearing 1-3 at upperparts of twigs
Habit
Flatland, like fertile sand lome
English common name
East Asian hackberry
Life cycle
Deciduous broadleaf tree
Flowering
May
Height
20m
Root
Have tap roots and lateral roots grow diffuse every which way
Flower color
Reddish brown
Fruit
Drupe, little reddish yellow, stalks pubescent
Use
Planting for windbreak, ornamental. Fruits edible. Woods used for furniture, construction. Barks used for fiber. Barks and leaves used for medicine(lung abscess, hives, wheal etc.)
Bark
Dark brown
Branches
Diffuse wide, twigs pubescent
이미지 갤러리
- 촬영일자
-
- 촬영장소
- 촬영자
- 주준호
- 사진설명
- 팽나무의 전체이미지입니다.
-
세밀화정보
관련생물종
-
곤충
가루깍지벌레 - Pseudococcus comstocki (Kuwana, 1902)
-
곤충
긴솜깍지벌레붙이 - Phenacoccus aceris (Signoret, 1875)
-
곤충
느릅밤나방 - Cosmia affinis (Linnaeus, 1767)
-
곤충
등나무가루깍지벌레 - Paraputo wistariae (Green, 1923)
-
곤충
말채나무공깍지벌레 - Parthenolecanium corni (Bouché, 1844)
-
곤충
미국흰불나방 - Hyphantria cunea (Drury, 1773)
-
곤충
배나무흰깍지벌레 - Lopholeucaspis japonica (Cockerell, 1897)
-
곤충
뿔나비 - Libythea lepita Moore, 1858
-
곤충
선녀벌레 - Geisha distinctissima (Walker, 1858)
-
곤충
수노랑나비 - Chitoria ulupi (Doherty, 1889)
-
곤충
외발톱면충 - Aphidounguis mali Takahashi, 1963
-
곤충
유리창나비 - Dilipa fenestra (Leech, 1891)
-
곤충
일본날개매미충 - Ricania simulans (Walker, 1851)
-
곤충
조팝나무진딧물 - Aphis (Aphis) spiraecola Patch, 1914
-
곤충
주머니깍지벌레 - Eriococcus lagerstroemiae Kuwana, 1907
-
곤충
큰팽나무이 - Celtisaspis japonica (Miyatake, 1968)
-
곤충
홍점알락나비 - Hestina assimilis (Linnaeus, 1758)
-
곤충
황가슴가시거품벌레 - Makiptyelus dimorphus Maki, 1914
-
곤충
흑백알락나비 - Hestina japonica (C. & R. Felder, 1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