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명
-
사철나무
[비추천명 : 개동굴나무]
- 학명
- Euonymus japonicus Thunb.
- 과명
- 앵글러 -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APG Ⅳ-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 일본명
- マサキ
- 영문명
- Evergreen spindletree
일반정보
분포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일본 / 황해도 이남과 강원특별자치도 이남에 분포, 전국 식재.
생육환경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나 비교적 토질은 가리지 않는 편이다. 보통으로 관수 관리하며 내건성 식물이다. 음수 내지는 반음수로 양지에서도 잘 자라고 노지에서 월동하며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해풍과 염기에 강하며 내음력과 공해에 대한 저항성도 강하다.
생육형
상록 활엽 관목.
크기
높이 3m.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두텁고 거꿀달걀형 또는 좁은 타원형으로 예두 또는 무딘형이고, 예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3 ~ 7cm × 3 ~ 4cm로, 표면에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황록색이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
꽃은 암수한꽃으로 6 ~ 7월에 피며, 지름 7mm로 연한 황록색이며 잎겨드랑이의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꽃부분은 4수이다.
열매
열매는 삭과이며 둥글고, 지름 8 ~ 9mm로 붉은색이며, 4개로 갈라져서 황적색 종의로 싸인 종자가 나오며, 종자는 흰색으로 길이가 7mm로 한쪽에 줄이 있고,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가지는 녹색이며, 매끈하다.
뿌리
잔뿌리가 많다.
수피
나무껍질은 회흑색이 나며, 새로 난 가지는 녹색으로 털이 없고 많은 가지가 난다.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및 삽목, 분주, 취목 등의 무성생식으로 행한다.
①실생 :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밭에 파종한다. 종자는 노천매장 후 파종한다. 종자의 경우 발아력이 매우 높다.
②삽목 : 일반적으로 번식은 주로 삽목을 이용하는 것이 쉽다.
ⓐ삽목은 봄 싹트기 전과 장마 때, 그리고 가을의 9-11월까지 할 수 있다.
ⓑ삽수는, 봄에 삽목할 경우는 지난해 가지를 자라 쓰며, 여름과 가을에는 그해 자란 가지의 단단하고 굳은 것을 쓴다. 익은 정도는 가지를 꺾어 봐서 뚝 꺽여지며 한쪽 껍질이 겨우 붙어 있는 정도로 굳은 것이 좋다. 길이는 10cm정도로서 세마디 정도 붙으면 된다.
ⓒ밑쪽 잎은 따내고 남은 잎은 반 정도 잘라 버리고 모나 진흙에 1/3정도 묻히게 꽂는다.
ⓓ삽목상은 반그늘지게 차광하여 주고 새싹이 3cm정도 자라면 이식해 비배한다.
재배특성
▶적지 : 해를 전혀 못받는 지나친 그늘과 심한 건조지만 아니면 아무곳에서난 잘 자란다.
▶이식 : 겨울을 제외하고는 어느 때라도 이식할 수 있으며 심을 때는 잔가지를 짧게 전정하여 심는 것이 좋다. 심을 때 빨리 자라고 잎 빛깔을 곱게 하려면 밑거름으로 퇴비, 깻묵, 닭똥, 재 같은 것을 넣고 심는 것이 좋다. 울타리용으로 심을 때눈 60㎝ 정도 크기의 묘목을 지그재그로 심어 위를 전정하면서 원하는 높이까지 기른다.
▶전정 : 4-10월까지 생육하므로 가지가 자라는데 따라 2-3회 전정을 되풀이하면 가지가 밀생하여 아름다운 수형이 된다.
유사종
▶무룬나무(var.macrophylla REGEL.): 잎이 타원형이고 길이 5-7.5cm이다.
▶긴잎사철(var.longifolia NAK.): 잎이 길이 6-9cm, 나비 2-3.5cm이다.
▶흰점사철 : 잎가장자리에 백색 반점이 있다.
▶은테사철(for.albomarginata Rehder): 잎 주위에 흰색 테가 있다.
▶금반사철(for.aureo-variegata Regel): 잎에 황색 반점이 있다.
▶금테사철(for.aureo-marginata Rehder): 잎가장자리가 황색이다.
▶황록사철(for.viridi-variegata Rehder): 잎에 황색과 녹색 반점이 있다.
특징
▶울산광역시 울주군 목도의 상록수림은 천연기념물 제65호에 지정되어 있다. 이 숲에서는 사철나무외에 동백나무, 후박나무, 자귀나무, 다정큼나무, 소악등이 많고 볼레나무, 벚나무, 개산초나무, 팽나무등이 자란다. 면적은 15,074㎡정도이다.
▶개화기 때 똥파리가 많이 모여들어 위생적인 곳에서는 정원수로 적합하지 않다.
병해충정보
새로 나온 잎은 백분병에 걸리기 쉬우며 잎이 하얗게 된다. 충해는 봄에서 여름에 걸쳐 자벌레가 많이 발생하여 잎을 갉아 먹는다.
방제방법
백분병에 걸리면 질소 비료를 줄이고 인산, 카리질 비료를 많이 준다. 약제로는 카라센을 뿌리면 유효하다. 충해에는 스미치온이나 디프테렉스를 뿌려 구제한다.
English Contents
Distribution
Japan , Korea(South parts in Hwanghae-do, South parts in Gangwon-do, widely planting across country)
Leaves
Opposite, thick and obovate or narrow elliptic, apex acute or obtuse, base acute, surface glossy and back sides yellowish green, margins crenate
Inflorescences
Bisexual flowers, raceme and axillary, tetramerpis flower
Habit
Like fertile sand lome, strong to dry
English common name
Evergreen spindletree
Life cycle
Evergreen broadleaf shrub
Flowering
Jun.-Jul.
Seed production and maturing
Oct.
Height
3m
Root
Have many rootlets
Flower color
light yellowish green
Fruit
Capsule, rounded and red, divided 4 parts
Seed
Covered yellowish red seed coats, white and have lines at one sided
Use
Planting for ornamental, roots used for medicine(Irregular menstruation, dysmenorrhea)
Significance
Endangered and rare plant
Bark
Grayish black
Branches
Grow out many branches, twigs green and glabrous
이미지 갤러리
- 촬영일자
-
2008.07.09
- 촬영장소
- 촬영자
- 국립수목원
- 사진설명
-
세밀화정보
관련생물종
-
곤충
가루깍지벌레 - Pseudococcus comstocki (Kuwana, 1902)
-
곤충
거북밀깍지벌레 - Ceroplastes japonicus Green, 1921
-
곤충
거품벌레 - Aphrophora pectiralis Matsumura, 1903
-
곤충
공깍지벌레 - Eulecanium kunoense (Kuwana, 1907)
-
곤충
귤깍지벌레 - Chrysomphalus dictyospermi (Morgan, 1889)
-
곤충
노랑배허리노린재 - Plinachtus bicoloripes Scott, 1874
-
곤충
노랑털알락나방 - Pryeria sinica Moore, 1877
-
곤충
루비깍지벌레 - Ceroplastes rubens Maskell, 1893
-
곤충
무화과깍지벌레 - Coccus hesperidum Linnaeus, 1758
-
곤충
배나무굴깍지벌레 - Lepidosaphes conchiformis (Gmelin, 1790)
-
곤충
배나무흰깍지벌레 - Lopholeucaspis japonica (Cockerell, 1897)
-
곤충
버드나무얼룩가지나방 - Abraxas miranda Butler, 1878
-
곤충
복숭아혹진딧물 - Myzus (Nectarosiphon) persicae (Sulzer, 1776)
-
곤충
뿔밀깍지벌레 - Ceroplastes ceriferus (Fabricius, 1798)
-
곤충
선녀벌레 - Geisha distinctissima (Walker, 1858)
-
곤충
식나무깍지벌레 - Pseudaulacaspis cockerelli (Cooely, 1897)
-
곤충
어리모무늬매미충 - Hishimonus hamatus Kuoh, 1976
-
곤충
왕물결나방 - Brahmaea certhia (Fabricius, 1793)
-
곤충
조팝나무진딧물 - Aphis (Aphis) spiraecola Patch, 1914
-
곤충
차잎말이나방 - Homona magnanima Diakonoff, 1948
-
곤충
흰띠알락나방 - Pidorus atratus (Butler, 1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