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자원

메인화면으로 이동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식물자원 > 식물도감 > 이름으로찾기

이름으로찾기

기본정보 식물명복사 학명복사 주소복사

국명
단풍나무 [비추천명 : 내장단풍]
학명
Acer palmatum Thunb.
과명
앵글러 - 단풍나무과 (Aceraceae)
APG Ⅳ- 무환자나무과 (Sapindaceae)
일본명
チョウセンヤマモミジ
영문명
Palmate maple
식물표본정보 종자정보 학명정보 일반정보 텍스트출력

일반정보

분포
일본 / 경상남도, 전라남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생육환경
음지와 양지 모두에서 잘 자라는 중용수이고 습기가 약간 있는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과 내병충성, 내공해성은 강하고 내음성은 보통이다.
생육형
낙엽 활엽 교목.
크기
높이 15m.
잎은 마주나기하고, 원형에 가깝지만 5 ~ 7(9)갈래로 갈라지며, 열편은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겹톱니가 있고, 길이와 폭은 각 5 ~ 7cm × 6 ~ 8(9)cm로서, 뒷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적으로 탈락한다. 잎자루 길이는 3 ~ 5cm이며, 약간의 털이 있다.
꽃은 잡성 또는 암수한그루로 5월에 피며, 편평꽃차례고 암꽃은 꽃잎이 없거나 2 ~ 5개의 흔적이 있지만, 수꽃은 없고 수술은 8개이고 꽃받침조각은 5개이다.
열매
열매는 시과로 길이 1cm정도로, 털이 없으며 날개는 긴 타원형이고 예각 또는 둔각으로 10월 중순 ~ 10월 말에 성숙한다.
줄기
어린 가지는 적갈색
수피
나무껍질은 털이 없으며 적갈색이다.
번식방법
번식은 10월경 열매가 완전히 성숙하기 전에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하며 우수한 품종은 접목하여 증식한다.
재배특성
전정에 강하고 이식이 용이하며 생장속도는 느리다.
보호방안
경제적 가치가 높은 수종으로서 개발 및 대량증식 체계가 갖추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사종
▶내장단풍(var. nakaii Uyeki) : 잎이 9(간혹 7)개로 갈라지고 잎 뒷면 맥액에 갈색 털이 있으며 시과가 수평으로 벌어진다.
▶털단풍(var. pilosum Nakai) : 잎이 7-9개로 갈라지고 엽병, 잎 뒷면 주맥, 화경 및 일년생가지에 백색 털이 밀생하며 열매의 날개가 거꿀달걀모양이다.
▶아기단풍(A. micro-sieboldianum NAK.) : 잎 표면에는 털이 있으나 뒷면에는 없고 길이 32-65mm이며 화경에 털이 있고 열매가 좁은단풍의 1/2정도로 크다.
▶세열단풍(A. var. dissectum): 잎이 가늘게 갈라지는 것.
▶홍단풍(A. var. amoenum cv.sanguineum) : 잎이 봄에서 가을까지 붉은 것.
▶야촌단풍(A. var. speciosum) : 잎이 4계절 푸르거나 붉은 것.
특징
▶생장 속도가 빠르고 맹아력이 좋다.
▶변재는 엷은 황색 줄무늬가 있는 백색, 심재는 담갈암록색으로 광택이 있으며 심, 변재의 구분이 뚜렷하고 나이테는 분명치 않다. 산공재로 나무갗은 곱고 치밀하며 목리는 통직하다.
방제방법
▶백분병: 발아 전부터 타이젠을 뿌려 두거나 백분병이 발생하였을 때는 카라센을 뿌려 방제한다.
▶검은 진이 나오는 병: 봄에 보르드액을 뿌려 두면 효과가 있다.
▶철포충: 구멍에 마라손유제를 주입한다.
▶진딧물: 스미치온을 뿌린다.
▶개각충: 데나뽕을 뿌린다.
▶탄저병 : 실생묘에는 3-3식 보르도액을, 분근묘와 성목은 4-4식 보르도액 또는 다이센수화제 500배액을 6월상순부터 10일 간격으로 부린다.
▶줄기마름병: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동해나 피소를 막기 위하여 나무줄기에 백색수성페인트를 발라준다.
▶미국흰불나방 : 유충가해기에 슈리사이드, 디프 50%유제, 80%수용재 1,000배액을 수관에 살포한다.
▶박쥐나방 : 6월 이전에 임지내의 잡초를 제거, 지표에 마라톤 1,000배액 등 살충제를 살포한다. 유충진입공에 마라톤 등 살충제(500-1,000배)를 주입하고 진흙 등으로 막는다.
▶알락하늘소 : 이 해충의 방제법으로는 5월중순에 피레스유제, 파프유제 또는 바이린유제등을 나무가지와 잎에 뿌려준다. 또 유충이 자른 가지를 제거해서 태워주는 것도 방제법의 하나이다.

English Contents 상세

이미지 갤러리

단풍나무사진 : 단풍나무의 전체이미지입니다.

촬영일자
1997.11.25
촬영장소
촬영자
사진설명
단풍나무의 전체이미지입니다.
이미지출력
크게보기
  • 단풍나무 1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전체이미지입니다.
  • 단풍나무 2번째 사진 :
  • 단풍나무 3번째 사진 :
  • 단풍나무 4번째 사진 :
  • 단풍나무 5번째 사진 :
  • 단풍나무 6번째 사진 :
  • 단풍나무 7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수형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8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수형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9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수형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10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수형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11번째 사진 :
  • 단풍나무 12번째 사진 :
  • 단풍나무 13번째 사진 :
  • 단풍나무 14번째 사진 :
  • 단풍나무 15번째 사진 :
  • 단풍나무 16번째 사진 :
  • 단풍나무 17번째 사진 :
  • 단풍나무 18번째 사진 :
  • 단풍나무 19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줄기이미지 입니다.
  • 단풍나무 20번째 사진 :
  • 단풍나무 21번째 사진 :
  • 단풍나무 22번째 사진 :
  • 단풍나무 23번째 사진 :
  • 단풍나무 24번째 사진 :
  • 단풍나무 25번째 사진 :
  • 단풍나무 26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꽃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27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꽃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28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꽃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29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꽃눈파열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30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꽃눈파열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31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꽃핀가지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32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꽃핀가지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33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꽃핀가지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34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꽃핀가지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35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꽃핀가지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36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양성화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37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양성화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38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양성화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39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잎 이미지 입니다.
  • 단풍나무 40번째 사진 :
  • 단풍나무 41번째 사진 :
  • 단풍나무 42번째 사진 :
  • 단풍나무 43번째 사진 :
  • 단풍나무 44번째 사진 :
  • 단풍나무 45번째 사진 :
  • 단풍나무 46번째 사진 :
  • 단풍나무 47번째 사진 :
  • 단풍나무 48번째 사진 :
  • 단풍나무 49번째 사진 :
  • 단풍나무 50번째 사진 :
  • 단풍나무 51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잎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52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잎눈파열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53번째 사진 :
  • 단풍나무 54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열매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55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열매 사진입니다.
  • 단풍나무 56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수피이미지 입니다.
  • 단풍나무 57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열매 이미지 입니다.
  • 단풍나무 58번째 사진 : 단풍나무의 잎 이미지 입니다.
  • 단풍나무 59번째 사진 :
  • 단풍나무 60번째 사진 :
  • 단풍나무 61번째 사진 :
  • 단풍나무 62번째 사진 :
  • 단풍나무 63번째 사진 :
  • 단풍나무 64번째 사진 :
  • 단풍나무 65번째 사진 :
  • 단풍나무 66번째 사진 :
  • 단풍나무 67번째 사진 :
  • 단풍나무 68번째 사진 :
  • 단풍나무 69번째 사진 :
  • 단풍나무 70번째 사진 :
  • 단풍나무 71번째 사진 :
  • 단풍나무 72번째 사진 :
  • 단풍나무 73번째 사진 :
  • 단풍나무 74번째 사진 :

표본정보 표본정보 더보기

세밀화정보

관련생물종

목록
related site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표준곤충목록
국가표준버섯목록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정보이용신청 및 저작권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Sitemap Top으로 가기
[11186]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509 국립수목원, 분야별 안내전화, e-mail : nature@korea.kr
Copyright (c) 2001 by Korea National Arboretum.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식물, 곤충 표본정보 DB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국가 DB사업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 웹사이트의 모든 정보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으므로 이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