잎은 어긋나기하고 밀생하며 거꿀피침모양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둥글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고 길이 4~7cm, 폭 8-12mm로서 주맥이 뒷면 끝까지 돌출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윤생엽은 거의 서로 비슷하고 다른 잎보다 넓으며 짧다.
총포조각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1-2cm, 폭 6-12mm로서 누른빛이 돈다. 꽃은 5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등잔모양꽃차례는 1개의 수술로 구성된 수꽃과 1개의 암술로 구성된 암꽃으로 구성되고 지름 2mm정도로서 선체가 다소 선형이다.
▶흰대극(E. esula L.): 전체에 털이 없으며, 분백색, 잎은 피침형, 주걱 모양, 꽃은 노란색이다.
▶두메대극(E. fauriei):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의 산지에 자라며 잔털이 분포. 잎은 난상 타원형, 긴 타원형, 꽃은 황록색이다.
▶등대풀(E. helioscopia): 잎은 잎자루는 없고, 주걱 모양의 거꿀달걀모양, 끝이 둥근 모양이거나 오목하게 들어간다.
▶암대극(E. jolkini):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피침형, 선상 피침형, 꽃은 황록색이다.
Distribution
South Coast In Korea
Stems
Glabrous
Leaves
Alternate, Dense, Oblanceolate or Linear Lanceolate, Apex Obtuse or Rounded, Base Become Narrowed, Margins Smooth
Inflorescences
Cyathium
Habit
Rocky Field In Coast
English common name
Jolkin’S Spurge
Life cycle
Perennial
Flowering
May
Height
40-80 cm
Flower color
Yellowish Green
Fruit
Capsule, Surface Have Similear Scabies Bump
Seed
Little Rounded and Smooth
Significance
Poisonous 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