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생식물로 주로 개울가나 계곡 주변에서 번성하고 산기슭 및 산 중턱의 건조한 곳에서도 자란다. 내한성이 강하며 내음력은 보통이고 공해에 약한 편이다.
낙엽 활엽 관목.
잎은 어긋나기하며 막질이고 타원형이며 둔두 원저이고, 길이와 폭은 각 2 ~ 6cm × 12 ~ 25mm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잎자루의 길이는 3 ~ 7mm이고 턱잎은 길이가 1mm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월 말 ~ 6월 말 개화하며 노랗게 피고, 수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많이 모여 나며 지름은 3mm이고 꽃대 길이는 2 ~ 3mm이다. 꽃받침조각과 수술 각각 5개이고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2 ~ 5개(간혹 8개)씩 달리고, 꽃대 길이는 5 ~ 10mm이다.
삭과는 편구형이며, 황갈색으로 익으며 지름 4mm로서 3줄의 홈이 있고 3조각으로 갈라져서 6개의 종자가 나오고, 7월 ~ 10월에 성숙한다.
관목이지만 높이 10m, 지름 21cm에 달하는 것도 간혹 있으며 가지는 끝이 밑으로 처지고 갈색이 돈다. 줄기는 뭉쳐나며 털이 없으며 잔줄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 성남리의 성황림은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12,993㎡이며 지정사유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이 숲을 구성하는 수종은 다양한데 광대싸리외에 전나무, 소나무, 음나무, 졸참나무, 귀룽나무, 옻나무, 박쥐나무, 느릅나무, 개암나무, 산딸나무, 오갈피나무, 난티나무, 고로쇠나무, 층층나무등이 자라고 있다.
▶새순을 광대순이라고 부른다.
Distribution
China, Japan , Korea(Widely distributed across country)
Stems
Caespitose at base, glabrous and have some fine lines
Leaves
Alternate and membranous, elliptic and apex obtuse, base rounded, both sides glabrous, surface green, back sides whity
Inflorescences
Dioecious, staminate flowers caespitose at leaf axils, pistillate flowers bearing 2-5 at leaf axils
Habit
Streamside, around valley, foot of mountain or mountain side
English common name
Suffrutescent securinega
Life cycle
Deciduous broadleaf shrub
Flowering
May-Jun.
Seed production and maturing
Jul.-Oct.
Height
10m
Flower color
Yellow
Fruit
Capsule, flat globose, have 3 groove, divided 3 parts and stick out 6 seeds, ripen with yellowish brown coloured
Use
Woods used for fire. Fresh young leaves used for edible. Roots and leaves used for medicine(Backache, quadriplegia, facial nerve palsy etc.)
Bark
Brown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