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명
-
구기자나무
[비추천명 : 긴잎구기자나무]
- 학명
- Lycium chinense Mill.
- 과명
- 앵글러 - 가지과 (Solanaceae)
APG Ⅳ- 가지과 (Solanaceae)
- 일본명
- クコ
- 영문명
- Chinese matrimony vine
일반정보
분포
중국, 대만, 일본; 전국적으로 분포.
생육환경
▶부락 근처의 뚝이나 냇가에서 자란다.
▶햇빛이 잘 들고 토심이 깊고 보습성과 배수성이 좋은 비옥적윤한 사질양토에서 번성한다.
생육형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4m.
잎
잎은 어긋나기 또는 여러 개가 모여나기하며 중앙이 넒은 달걀형이고 첨두 또는 무딘형이며 넓거나 좁은 예형으로 길이 3 ~ 8cm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는 길이 1cm로 털이 없다.
꽃
꽃은 6월부터 9월까지 계속 피며 1 ~ 4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꽃대는 길이 3 ~ 8mm(간혹 12mm)이고 꽃받침은 3 ~ 5개로 갈라지고 열편 끝이 뾰족하며 꽃부리는 보라색이며 길이 1cm로 5갈래로 갈라진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수술대는 길고 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장과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 ~ 2.5cm로 붉은색이며 9월 말 ~ 10월 중순에 성숙한다.
수피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일년생가지는 황회색이고 털이 없으며, 원줄기는 비스듬하게 자라면서 끝이 밑으로 처지고, 가지에 가시가 흔히 있다.
번식방법
삽목, 휘묻이, 분주, 종자 등 여러가지로 할 수 있으나 주로 삽목번식법으로 하고 있다.
▶꺾꽂이: 시기는 3~4월과 9~10월 경이 적기이나 대체로 봄에 실시한다. 꺾꽂이 순은 가을철에 꺾꽂이하는 경우 그해에 자란 새로운 줄기 중에서 조직이 굳은 연필크기 정도의 줄기를 선택하고, 봄철에 꺾꽂이 하는 경우에는 전년도에 자란 줄기를 선택하여 15~18cm의 길이로 잘라 꺾꽂이 한다.
▶휘묻이: 여름 7~8월에 하는 것이 적당하다.
▶분주법: 10월 하순경에 포기를 완전히 캐내어 나누어 심는다.
재배특성
꺽꽂이법, 포기나누기법, 휘묻이법, 파종법이 있으나 구지자는 꺾꽂이의 활착이 잘 되므로 노력 절감상 일반적으로 꺾꽂이법이 이용된다.
▶꺾꽂이
꺾꽂이 시기는 3-4월 또는 9-10월경이나 대체로 봄에 실시한다. 꺾꽂이순을 꺾꽂이하는 경우 그 해에 자란 새로운 줄기 중에서 조직이 굳은 것으로 연필 크기 정도의 줄기를 선택하고 봄에 꺾꽂이 하는 경우에는 전년도에 자란 줄기를 선택하여 15-18cm의 길이로 잘라서 120cm 나비의 모판에 2-3개의 눈이 땅위로 나오도록 하여 비스듬이 눕혀서 10cm간격으로 꽂는다. 꺾꽂이 후 가뭄이 계속될 때는 2-3일에 한번씩 물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보호방안
전국적으로 많이 분포하므로 특별한 관리는 필요없다. 약초 아닌 산채로서도 건강식품으로 크게 기여하므로 새로운 각도에서 재배해 볼 만하다.
특징
20여년 전에 불로장수하는 강장강정제요 만병통치의 영약으로 큰 붐을 몰고왔던 기억에 새로운 약초이다.
병해충정보
▶탄저병: 구기자 병해중에서 가장 심하다. 이 병은 연중 강우량이 가장 많고 평균기온이 25℃전후인 7-8월에 발병이 심하며,10월 하순까지 계속 발병된다.
▶구기응애: 새 잎이 나기 시작하는 4월 하순부터 잎의 뒷면은 가해하여 벌레혹을 형성하며 아랫 잎부터 황록색으로 변하면서 낙엽이 된다.
▶열점잎벌레(돼지벌레): 새순의 발생과 동시에 잎과 손끝에 큰 치명상을 주는 벌레로서 몇일 간 방치해 두면 순과 잎을 갉아 먹는다.
▶담배나방: 연중 2-3차 발생된다.
▶진딧물: 연중 수차례 발생하는 해충을 구기엽과 열매가 떨어져 많은 손실을 보게된다.
방제방법
▶탄저병: 디포라탄 1,000배액을 장마 전과 직후에 뿌려 주거나 홀펫,안트라콜,다이센 M-45등을 예방 위주로 뿌려주는것이 가장 효과가 있다.
▶구기응애: 피해가 발견되면 니코풀,아미트유제 500-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다.
▶열점잎벌레: 약제로는 데시스,피레스,CDR 등이 효과가 있다.
▶담배나방: 데니스,피레스 등의 약제를 살포하면 된다.
▶진딧물: 약제로는 주렁,벤네이트,피레스,디디브피 등의 약제가 있다.
English Contents
Distribution
China, Taiwan, Japan , Korea(widely distributed across country)
Stems
Main stems grow ascending and apex hang lowest, branches usually have prickles
Leaves
Alternate or caespitose, central parts wide ovate, cuspidate or obtuse, wide or narrow acute, both sides glabrous, margins smooth, petioles glabrous
Inflorescences
Bearing 1-4 flowers at axils
Habit
Dike or streamside
English common name
Chinese boxthorn, Chinese matrimony-vine, Chinese teaplant, Chinese wolfberry, wolfberry, Chinese desert-thorn
Life cycle
Deciduous broadleaf shrub
Flowering
Jul.-Sep.
Seed production and maturing
Sep.-Oct.
Height
4m
Flower color
Purple
Fruit
Berry, oblong and red coloured
Use
Ornamental, edible, medicine(Hemorrhage, nasal bleeding, hypertension etc.)
Bark
Grayish white
Branches
Twigs yellowish gray, glabrouse
이미지 갤러리
- 촬영일자
-
- 촬영장소
- 촬영자
- 주준호
- 사진설명
-
관련생물종
-
곤충
복숭아혹진딧물 - Myzus (Nectarosiphon) persicae (Sulzer, 1776)
-
곤충
싸리수염진딧물 - Aulacorthum (Aulacorthum) solani (Kaltenbach, 1843)
-
곤충
열점박이잎벌레 - Lema (Microlma) decempunctata (Gebler, 1830)
-
곤충
왕누에나방 - Rondotia menciana Moore, 1885
-
곤충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 Henosepilachna vigintioctomaculata (Motschulsky, 1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