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명
-
이팝나무
[비추천명 : 긴잎이팝나무]
- 학명
-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 과명
- 앵글러 - 물푸레나무과 (Oleaceae)
APG Ⅳ- 물푸레나무과 (Oleaceae)
- 일본명
- ヒトツバタゴ
- 영문명
- Retusa fringetree
일반정보
분포
중국, 대만, 일본 / 전라남북도, 제주특별자치도, 경기도.
생육환경
골짜기나 개울 근처, 해변가에서 자라며 양지 바르고 토심이 깊은 사질양토의 비옥적윤지에서 생장이 양호하다. 내음성은 보통이고, 내한성과 각종 공해, 염해, 내병충성이 강하나 건조에는 약하다. 동해안에서는 곧게 빨리 자라는 반면 서해안, 남해안에서는 생육이 더디다.
생육형
낙엽 활엽 교목.
크기
높이 25m, 지름 50cm.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타원형 또는 달걀형이고 첨두 또는 무딘형이며 넓은 예형 또는 원저로 길이와 폭이 각 3 ~ 5cm × 2.5 ~ 6cm이다. 표면 주맥 밑부분에 연한 갈색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어린 나무의 경우 겹톱니가 있고, 감나무와 비슷한 모양이다.
꽃
꽃은 수꽃양성화딴그루로 꽃차례는 새가지에 달리며 길이 6 ~ 10cm로 밑에 잎이 달리고, 꽃대는 길이 7 ~ 10mm로 환절이 있고, 꽃받침은 4개로 깊게 갈라지며, 꽃잎은 흰색으로 4개이며 길이와 폭이 각 1.2 ~ 2cm × 3mm로, 밑부분이 합쳐지고 판통이 꽃받침보다 길며 5 ~ 6월에 개화한다.
열매
열매는 핵과로 타원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10 ~ 15mm × 8 ~ 9mm로 짙은 검은색이며 9 ~ 10월에 성숙한다.
뿌리
원뿌리와 잔근이 있다.
수피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어린 줄기 황갈색으로 벗겨진다.
번식방법
종자의 이중휴면성으로 종자번식이 까다로워서 다량생산이 어렵다. 그러나 가을에 채취한 종자를 두해 겨울동안 노천매장 후 파종하면 잘 발아되며 초기생육이 불량하므로 파종 후 2년을 더 길러서 이식하면 좋다. 7~8년후 꽃이 핀다. 순량율 96%, ℓ당 입수 2,064립, 발아율 60% 이다.
재배특성
이식이 용이하다.
땅이 깊고 습한 사질양토로서 pH가 5.0-6.0인 곳이 적당하다. 성장이 비교적 빠르고, 전정을 싫어한다.
보호방안
최근에 자생지가 발견되고 있는 종으로 개체수가 많지 않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유사종
▶긴잎이팝나무(var. coreana Nakai): 이팝나무에 비해 잎이 더 좁고 긴 피침형이고 화관열편의 폭이 1~1.5mm이다.
특징
큰나무는 대부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36호 - ⓐ소재지:전라남도 순천시 평중리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 ⓒ수령 400년, 수고 16.5m, 흉고줄기둘레 4.46m, 수관폭 동9m, 서7m, 남9.3m, 북7.3m.
제183호 - ⓐ소재지: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중산리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 ⓒ가슴높이 줄기둘레:2.1m
제185호 - ⓐ소재지:경상남도 김해시 신창리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 ⓒ수령:600년 ⓓ나무높이:15m
제214호 - ⓐ소재지: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평지리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 ⓒ면적:350㎡ ⓓ나무높이:23~30m
제234호 - ⓐ소재지:경상남도 양산시 신전리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 ⓒ면적:7,851㎡ ⓓ나무높이:12m
제235호 - ⓐ소재지: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수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 ⓒ면적:16,293㎡ ⓓ나무높이:17m
제307호 - ⓐ소재지:경상남도 김해시 천곡리 ⓑ지정사유:노거수(老巨樹) ⓒ면적:284㎡ ⓓ수령:500년
▶학명 Chionanthus 는 Snow flowering(눈꽃 같은 나무)을 의미한다. 어린줄기가 황갈색으로 벗겨져 아름답고, 6월에 피는 백색 꽃은 파란잎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나무 전체를 덮어서 여름철에 눈이 온 것 같은 착각을 줄 만큼 미려하다.
병해충정보
▶충해 : 깍지벌레, 선충.
▶병해 : 흰가루병.
방제방법
▶선충 : 메틸브로마이드, DD, EDB, DBCP, 베이팜 등의 토양훈증제로 토양훈증을 하여야 한다
▶깍지벌레류: 겨울에는 가지고르기, 가지치기 후인 12-4월 사이에 기계유 유제(95%)25배액을 가지와 줄기 전체에 살포하고 우화약충기에 메치온, 디메토유제 1,000배액을 2-3회 살포한다.
▶흰가루병 : 한 여름에 다이센, 카라센, 보르도액(4-4식), 톱신 등을 뿌린다
English Contents
Distribution
China, Taiwan, Japan , Korea(Jeolla-do, Gyeonggi-do , Jeju-do)
Stems
Winter buds deltoid-ovate, bud scales ovate to deltoid-ovate, brown, densely pubescent
Leaves
Decussate, simple. Petiole green, densely pubescent. Leaf blade oblong, elliptic, ovate, or obovate, apex obtuse, acute or retuse, margin entire, repand, densely pubescent, base cuneate or rounded, leathery, primary veins 4∼8 pairs, adaxial surface lustrous, green, pubescent or glabrous, abaxial surface yellow green, densely brown or white hairs on veins
Inflorescences
Androdioecious. calyx campanulate,glabrous, lobes 4∼8, often 4 lobed, lanceolate or narrowly deltoid, apex acuminate, margin entire
Habit
Valley or around streamside, coast
English common name
Retusa fringetree
Life cycle
Deciduous broadleaf tree
Flowering
May-Jun.
Height
25m
Root
Have tap roots and lateral roots
Flower color
White
Fruit
Drupe, oblong, elliptic or sub-orbicular, pruinose, blue-black or black, glabrous. endocarp striate, light brown, pubescent
Use
Planting for ornamental. Leaves used for dye
Bark
Old barks shallowly sulcate, sometimes peeled off, gray brown
Branches
twig lenticel lens-shape, brown, pubescent or glabrous, lenticel lens-shape, ribbed, green, densely pubescent
이미지 갤러리
- 촬영일자
-
1996.05.15
- 촬영장소
- 국립수목원
- 촬영자
- (사)한국자생식물보존회(김건옥)
- 사진설명
- 이팝나무의 전체이미지입니다.
-
세밀화정보
관련생물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