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를 잘 받는 따뜻한 곳이 좋으며 겨울의 서북풍이 막힌 곳이 좋다. 해를 잘 받지 못한 곳에서는 도장지가 되어 꽃이 잘 맺히지 않는다. 토질은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비옥한 양토나 점질 양토에서 생장이 좋으나 공해가 심한 지역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다. 내한성이 약해서 동백이나 가시나무가 월동하는 지역외에서는 야외 재배가 어렵다.
상록 활엽 관목.
잎은 마주나기하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7 ~ 12cm × 2.5 ~ 4cm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거나 거의 밋밋하고, 표면은 주맥이 들어가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측맥이 어느 정도 뚜렷하게 도드라진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지름 5㎜정도이며 백색인데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고 길이 7 ~ 10mm의 꽃자루가 있으며 9월에 개화한다. 꽃은 작아서 그리 아름답다고는 할 수 없으나 향기만은 비길 데 없이 향기로워서 멀리서도 알아차릴 만큼 짙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4개로 갈라지고 꽃부리도 4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타원형 원두이고 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번식은 실생 및 무성생식으로 한다.
①실생 : 종자번식은 2년간의 노천매장을 해야 한다.
②삽목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나 특정한 짧은 기간에만 되므로 활착률이 좋지는 않다. 즉, 적기는 그 해에 따라 다르나 7-8월중 고온인 시기의 1주일 정도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고온기가 가까와지면 집중적으로 많이 삽목하여 어느 것인가가 활착하도록 하는 방법이 유리하다. 삽수는 그해 자란 새가지가 굳어진 것을 골라 12-15cm 길이로 잘라 반 정도 밑쪽 잎을 따내고 진흙경단을 붙여 모래에 꽂든가 모래 섞인 진흙에 꽂는다. 삽목상은 차광하였다가 활착하면 벗기며 건조하지 않게 관리한다.
③접목 : 봄에 쥐똥나무의 실생묘에 접붙이기를 한다.
④고취법(휘묻이) : 장마 때 가지를 2cm 폭으로 돌려가며 껍질을 벗기고 물이끼를 댄 후 싸매어서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면 뿌리가 나므로 잘라내어 번식시킨다.
⑤분주, 분근으로도 번식가능하다.
생장은 더딘 편이며 높이 3m 안팎으로 자라나 이 정도로 자라자면 오랜 시일이 걸린다. 전정은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이식은 가능하다.
▶금목서(var. aurantiacus Makino) : 등황색 꽃이 핀다. 금목서가 가장 향기롭다.
▶은목서: 흰빛꽃이 핀다.
▶박달목서: 우리나라 거문도에 자생하는 흰꽃이 핀다.
Distribution
China, Japan , Korea(Cultivate at south area)
Leaves
Opposite, oblong, margins serrulate or almost smooth, surface midveins little retreat and glabrous, back sides light green, lateral veins little clear
Inflorescences
Dioecious, caespitose at axills
Habit
Grow well in sunny and well drained soil, weak to pollution, cold
English common name
Fragrant Olive, Sweet Olive, Tea Olive
Life cycle
Evergreen broadleaf shrub
Flowering
Sep.
Seed production and maturing
Oct.
Height
3m
Flower color
White
Fruit
Drupe, elliptic and dark purple
Use
Planting for ornamental. Flowers used for spice. Woods used for craft material
Bark
Light grayish brown
Branches
Glabr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