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자원

메인화면으로 이동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식물자원 > 식물도감 > 이름으로찾기

이름으로찾기

기본정보 식물명복사 학명복사 주소복사

국명
마가목 [비추천명 : 넓은잎당마가목]
학명
Sorbus commixta Hedl.
과명
앵글러 - 장미과 (Rosaceae)
APG Ⅳ- 장미과 (Rosaceae)
일본명
ナナカマド
영문명
Silvery mountain ash
식물표본정보 종자정보 학명정보 일반정보 텍스트출력

일반정보

형태
낙엽성 관목 또는 작은 교목으로, 높이는 10 m까지 자란다. 줄기는 짙은 회갈색 또는 회색을 띠며, 어린 개체는 피목이 발달하며, 성숙 개체는 세로로 갈라지고, 거칠게 벗겨지기도 한다. 묵은 가지는 직경 3.8∼10 mm이고, 적갈색 또는 회갈색을 띠고, 털이 없으며, 흰색 피목이 발달한다. 일년생 가지는 직경 3.4∼7.3 mm이고, 처음에 녹색을 띠지만 점차 적갈색 또는 황갈색으로 변하고, 털이 있으나 곧 떨어지고, 흰색 피목이 발달한다. 겨울눈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크기 8∼17 × 3∼7 mm이고, 붉은색 또는 검붉은색을 띠고, 표면은 매끈하거나 갈색 또는 흰색 털이 부분적으로 밀생하고, 점성이 있거나 없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우상복엽이다. 탁엽은 조락성이고,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예거치가 발달한다. 엽병은 길이 2∼5.2 cm이다. 엽병을 포함한 복엽의 전체적인 크기는 13.3∼27.8 × 4.2∼15 cm이고, 표면은 녹색이며 이면은 흰빛이 돈다. 소엽은 난상 피침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고, 엽선은 예두 또는 예첨두이고, 엽연은 예거치가 거의 기부까지 발달하며, 엽저는 비대칭 둔저 또는 원저이다. 소엽의 개수는 11∼15개로 정단 소엽은 크기 3.2∼9.9 × 1.1∼2.8 cm이며, 중간의 가장 큰 소엽은 크기 4.8∼9.9 × 1.1∼2.6 cm이고, 정단부분과 기부에 있는 소엽은 다른 소엽보다 크기가 작은 편이다. 양면에는 털이 없으나, 엽축과 엽병, 엽맥에 흰색 또는 황갈색 털이 밀생하고, 곧 떨어진다. 화서는 일년생 가지 끝에 정생, 수백개의 꽃이 달리는 복산방화서이다. 화서의 높이는 6.5∼11.3 cm이고, 직경은 5.4∼15.1 cm이다. 화경에는 털이 있으나 곧 떨어지고, 피목이 발달한다. 꽃은 5∼6월에 피며, 꽃은 양성화이고, 완전화이며, 방사상칭이다. 직경은 8∼11 mm이다. 화탁통은 종형이고, 크기는 1.3∼2.2 × 1.4∼2.4 mm이며 녹색이다. 꽃받침은 5개이고 열매가 익을 때까지 숙존한다. 모양은 삼각형이고, 선단부는 예두이며, 가장자리는 매끄럽다. 크기는 0.8∼1.5 × 1.1∼2 mm이며, 녹색이고, 화탁통과 더불어 털이 없거나 있으나, 곧 떨어진다. 화피는 5장, 광타원형 또는 원형이고, 선단부는 원두이며, 크기는 3.1∼5.5 × 2.9∼4.6 mm이며, 흰색이다. 수술은 20개이고 길이 2.8∼4.7 mm이다. 꽃밥은 노란색 또는 분홍색이고, 수술대는 흰색이고 매끄럽다. 심피는 2∼4개이며, 분리되어 있지만 밑부분 1/2 정도가 융합되어 있다. 암술대는 길이 1.7∼2.8 mm이고, 기부에 털이 많다. 열매는 9∼10월에 성숙하며 이과(pome)이다. 아구형 또는 구형으로, 크기 5.5∼8.2 × 5.6∼9 mm이다. 연한 주황색, 주황색 또는 붉은색으로 익으며, 표면은 매끈하고, 광택이 있다. 종자는 난형으로, 크기는 2.9∼4.3 × 1.5∼2.4mm이고, 연한 갈색 또는 갈색이다.
분포
러시아(사할린), 일본(북해도, 혼슈, 시코쿠, 큐슈), 한국(함북 이남)
비고
차빛당마가목(S. amurensis var. rufa Nakai), 넓은잎당마가목(S. amurensis var. latifoliata Nakai)은 동경대에 소장된 기준표본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형질이 전형적인 마가목의 특징과 일치하였으며, 넓은잎당마가목의 소엽 너비 역시 마가목의 변이폭에 포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참고문헌
한반도 수목지 4(2020)
번식방법
번식은 실생 및 무성생식으로 한다.
①실생 : ⓐ가을에 채취한 종자를 1:3의 비율로 섞어 2년간 노천매장한 후 파종한다. ⓑ종자는 후숙성이 있으며 건조를 싫어한다. 과육을 제거한 후 0-3℃의 저온습층적저장 처리가 효과적이다.
②무성생식 : 삽목은 5월 상순~6월 상순에 숙지삽, 7월 중순 녹지삽을 한다. 취목, 접목(아접(芽接))으로도 번식된다.
재배특성
실생은 10월-이듬해 3월에 파종하고 과육제거 후 층적저장이 좋으며, 발아율은 40%, 13만립/ℓ이다. 삽목은 5월 상순-6월 상순 숙지삽, 7월 중순 녹지삽, 발근처리로는 IBA 50-100ppm에 5-6시간 침지하고 뿌리가 약하므로 실용성은 없다.
▶이식은 3-4월, 10-11월에 하나 큰나무는 곤란하며 전년에 단근 후 이식한다.
▶전정은 필요 없고 배식은 독립수, 열식으로 한다. 생장속도는 보통이다.

English Contents 상세

이미지 갤러리

마가목사진 : 마가목의 전체이미지입니다.

촬영일자
1997.11.24
촬영장소
촬영자
사진설명
마가목의 전체이미지입니다.
이미지출력
크게보기
  • 마가목 1번째 사진 : 마가목의 전체이미지입니다.
  • 마가목 2번째 사진 :
  • 마가목 3번째 사진 :
  • 마가목 4번째 사진 :
  • 마가목 5번째 사진 :
  • 마가목 6번째 사진 :
  • 마가목 7번째 사진 : 마가목의 수형 사진입니다.
  • 마가목 8번째 사진 : 마가목의 꽃 이미지 입니다.
  • 마가목 9번째 사진 :
  • 마가목 10번째 사진 :
  • 마가목 11번째 사진 :
  • 마가목 12번째 사진 :
  • 마가목 13번째 사진 :
  • 마가목 14번째 사진 :
  • 마가목 15번째 사진 :
  • 마가목 16번째 사진 :
  • 마가목 17번째 사진 :
  • 마가목 18번째 사진 :
  • 마가목 19번째 사진 :
  • 마가목 20번째 사진 :
  • 마가목 21번째 사진 : 마가목의 꽃핀가지 사진입니다.
  • 마가목 22번째 사진 : 마가목의 꽃 이미지 입니다.
  • 마가목 23번째 사진 :
  • 마가목 24번째 사진 :
  • 마가목 25번째 사진 :
  • 마가목 26번째 사진 :
  • 마가목 27번째 사진 :
  • 마가목 28번째 사진 :
  • 마가목 29번째 사진 :
  • 마가목 30번째 사진 :
  • 마가목 31번째 사진 : 마가목의 열매 사진입니다.
  • 마가목 32번째 사진 : 마가목의 열매 사진입니다.
  • 마가목 33번째 사진 : 마가목의 열매 사진입니다.
  • 마가목 34번째 사진 : 마가목의 수피이미지 입니다.
  • 마가목 35번째 사진 :
  • 마가목 36번째 사진 :
  • 마가목 37번째 사진 : 마가목의 열매 이미지 입니다.
  • 마가목 38번째 사진 :
  • 마가목 39번째 사진 : 마가목의 꽃 이미지 입니다.
  • 마가목 40번째 사진 : 마가목의 꽃 이미지 입니다.
  • 마가목 41번째 사진 :
  • 마가목 42번째 사진 :
  • 마가목 43번째 사진 :
  • 마가목 44번째 사진 :
  • 마가목 45번째 사진 :
  • 마가목 46번째 사진 :
  • 마가목 47번째 사진 :
  • 마가목 48번째 사진 :
  • 마가목 49번째 사진 :
  • 마가목 50번째 사진 :
  • 마가목 51번째 사진 :
  • 마가목 52번째 사진 :
  • 마가목 53번째 사진 :
  • 마가목 54번째 사진 :
  • 마가목 55번째 사진 :
  • 마가목 56번째 사진 :
  • 마가목 57번째 사진 :
  • 마가목 58번째 사진 :
  • 마가목 59번째 사진 :
  • 마가목 60번째 사진 :
  • 마가목 61번째 사진 :
  • 마가목 62번째 사진 :
  • 마가목 63번째 사진 :
  • 마가목 64번째 사진 :
  • 마가목 65번째 사진 :
  • 마가목 66번째 사진 :

표본정보 표본정보 더보기

세밀화정보

관련생물종

목록
related site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표준곤충목록
국가표준버섯목록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정보이용신청 및 저작권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Sitemap Top으로 가기
[11186]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509 국립수목원, 분야별 안내전화, e-mail : nature@korea.kr
Copyright (c) 2001 by Korea National Arboretum.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식물, 곤충 표본정보 DB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국가 DB사업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 웹사이트의 모든 정보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으므로 이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