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자원

메인화면으로 이동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식물자원 > 식물도감 > 이름으로찾기

이름으로찾기

기본정보 식물명복사 학명복사 주소복사

국명
후박나무 [비추천명 : 왕후박나무]
학명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과명
앵글러 - 녹나무과 (Lauraceae)
APG Ⅳ- 녹나무과 (Lauraceae)
일본명
タブノキ(イヌグス)
영문명
Thunberg’s bay-tree
식물표본정보 종자정보 학명정보 일반정보 텍스트출력

일반정보

분포
중국, 대만, 일본; 전라남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생육환경
▶울릉도, 남쪽 도서지방, 변산반도, 여수에서 오동도에 이르는곳, 울산 위쪽까지 자라며, 식재 북한계선은 포항이며 천리포 수목원에 식재되어 자라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남부 해안지역에서는 해발 500m이하의 지역에서 비교적 땅을 가리지 않고 잘 자란다.
▶유묘시에는 내음성이 좋으나 성목은 양수이고, 적윤지 토양과 공중습도가 높은 곳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은 약하지만 내조성이 강해서 비옥한 해안지방에서 많이 자라며 생장이 빠르다. 내풍력이 강하고 공해에도 잘 견딘다.
생육형
상록 활엽 교목.
크기
높이 20m, 지름 1m.
잎은 어긋나기로 가지 끝에 모여서 붙어 있는 것같이 보이며 깃모양의 맥이 9쌍이 있고 질이 두꺼우며 거꿀달걀상 타원형이고 길이 7~15cm, 나비 3~7cm로서 꼬리처럼 길어진 점첨두의 끝이 둥글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톱니가 없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녹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2~3cm로서 굵다. 봄에 나는 새순은 단풍처럼 붉게 물들어 아름답다.
암수한꽃으로, 5월에 새잎이 나올때 털이 없는 원뿔모양꽃차례가 액생하고 많은 황록색의 양성꽃이 달리며 꽃차례의 길이 4~7㎝, 꽃대는 길이 1cm정도이다. 화피열편은 3개씩 2줄, 수술은 3개씩 4줄로 배열되며 안쪽의 3개는 꽃밥이 없고 암술은 1개로서 길이 3.5mm쯤 된다.
열매
열매는 장과로서 7~8월 말에 흑자색으로 익으며 지름 1.4cm이며 둥글고 열매자루는 붉은색이다.
줄기
높이 20m, 지름 1m에 달하며 나무껍질은 녹갈색이고 늙은 나무에 있어서는 비늘조각처럼 떨어지고 회백색의 얼룩이 있으며 평활하다. 일년생가지는 녹색인데 붉은빛이 돌며 뒤에 타원상의 껍질눈이 생긴다. 끝눈은 타원상이고 많은 비늘조각이 있으며 붉은빛이 돈다.
뿌리
원뿌리보다 곁뿌리가 발달되어 있으며 심근성이다.
수피
나무껍질은 녹갈색이고 늙은 나무에 있어서는 비늘조각처럼 떨어지고 회백색의 얼룩이 있으며 평활하다.
가지
일년생가지는 녹색인데 붉은빛이 돌며 뒤에 타원상의 껍질눈이 생긴다.
번식방법
▶8월말 종자를 채취하여 바로 파종하며 7~10일 내에 발아한다. 녹나무과 중 열매가 가장 먼저 익는 것이 후박나무이며 낙하후 2주간만 지나면 자연발아하기 때문에 종자채취후 직파하거나 노천매장을 한다. 저장하고자 할 때는 과육을 제거한 후 종자를 반그늘에서 약간 말려 비닐주머니에 넣어 5-10℃에 저장하는 경우도 있다.
재배특성
이식력이 강하다.
보호방안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자생지의 지속적인 보호가 요구된다.
유사종
▶왕후박나무 (var. obovata NAK.): 잎이 거꿀달걀모양이고 길이 6-8㎝,넓이 3.5-5㎝이며 진도와 홍도에서 자란다.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도의 왕후박나무는 천연기념물 제 299호로 지정되어 있다.
특징
중부 지방에서 후박나무라고 부르는 것은 껍질이 두꺼운 일본목력을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수세가 강건하며 맹아력이 강하다.
▶천연기념물
제123호 - ⓐ소재지: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격포리 ⓑ면적:1,983㎡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제212호 - ⓐ소재지:전라남도 진도군 관매도 ⓑ면적:1,349㎡, ⓒ지정사유:노거수 ⓓ나무높이:18m
제344호 - ⓐ소재지:경상남도 통영시 우도 ⓑ면적:727㎡ ⓒ지정사유:노거수 ⓓ나무높이:20m
제345호 - ⓐ소재지:경상남도 통영시 추도 ⓑ면적;1,813㎡ ⓒ지정사유:노거수 ⓓ수령:약 500년 ⓔ나무높이:10m
병해충정보
▶병충해 : 탄저병, 응애.

English Contents 상세

이미지 갤러리

후박나무사진 : 후박나무의 전체이미지입니다.

촬영일자
촬영장소
촬영자
주준호
사진설명
후박나무의 전체이미지입니다.
이미지출력
크게보기
  • 후박나무 1번째 사진 : 후박나무의 전체이미지입니다.
  • 후박나무 2번째 사진 :
  • 후박나무 3번째 사진 :
  • 후박나무 4번째 사진 :
  • 후박나무 5번째 사진 :
  • 후박나무 6번째 사진 :
  • 후박나무 7번째 사진 :
  • 후박나무 8번째 사진 :
  • 후박나무 9번째 사진 :
  • 후박나무 10번째 사진 :
  • 후박나무 11번째 사진 :
  • 후박나무 12번째 사진 :
  • 후박나무 13번째 사진 :
  • 후박나무 14번째 사진 :
  • 후박나무 15번째 사진 :
  • 후박나무 16번째 사진 :
  • 후박나무 17번째 사진 :
  • 후박나무 18번째 사진 :
  • 후박나무 19번째 사진 :
  • 후박나무 20번째 사진 :
  • 후박나무 21번째 사진 :

표본정보 표본정보 더보기

세밀화정보

관련생물종

목록
related site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표준곤충목록
국가표준버섯목록
국가표준지의류목록
정보이용신청 및 저작권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Sitemap Top으로 가기
[11186]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509 국립수목원, 분야별 안내전화, e-mail : nature@korea.kr
Copyright (c) 2001 by Korea National Arboretum.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의 식물, 곤충 표본정보 DB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국가 DB사업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 웹사이트의 모든 정보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으므로 이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