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명
-
모감주나무
[비추천명 : 염주나무]
- 학명
-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 과명
- 앵글러 - 무환자나무과 (Sapindaceae)
APG Ⅳ- 무환자나무과 (Sapindaceae)
- 일본명
- 영문명
- Goldenrain tree
일반정보
분포
일본; 황해도 및 강원특별자치도 이남.
생육환경
추위와 공해에 강하고 비옥요구도가 낮아 척박지에서도 잘 생육하며 토양에 관계없이 잘 자라나 양지바른 곳을 좋아한다. 내조성과 내염성, 내건성이 대단히 강하다.
생육형
낙엽 활엽 소교목.
크기
높이 8 ~ 10m.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으로, 길이는 25 ~ 35cm이다. 소엽은 7 ~ 15개이고, 달걀형의 긴 타원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3 ~ 10cm × 3 ~ 5cm로, 뒷면 잎맥을 따라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꽃
원뿔모양꽃차례는 길이 25 ~ 35cm로 가지 끝에 달리고, 꽃은 짧은 퍼진 털이 있고 지름은 1cm로, 노란색이나 중심부는 붉은색이다. 꽃받침은 거의 5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4개가 모두 위를 향하여 한쪽은 없는 것 같이 보이고, 뒤로 젖혀진 아랫부분에 붉은색 부속체가 있고, 6월 말 ~ 7월 중순에 개화한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꽈리 같으며 길이가 4 ~ 5cm이고 3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3개가 들어 있고 둥글며 검은색으로 윤채가 있고 9월 초 ~ 10월 초에 성숙한다.
뿌리
원뿌리와 곁뿌리가 있다.
가지
작은 가지는 암갈색이다.
번식방법
▶실생 및 삽목으로 번식한다.
①실생 :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직파하거나 노천매장 후 봄에 파종하면 발아율이 매우 높다.
②삽목 : 삽목 번식도 가능하다. 여름철에 녹지삽목한다.
재배특성
직근성이므로 이식할 때 주의하여야 한다.
보호방안
충청도지역에 10여 곳의 자생지가 있으며, 원예종으로 개발되어 자생지 훼손을 막을 수 있었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유사종
이 종은 꽃이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노랗게 피고, 열매는 꽈리 모양인데 비해 무환자나무는 황백색으로 피고, 열매는 구형이므로 다르다.
특징
▶천연기념물
제138호 - 안면도의 모감주군락은 천연기념물 제138호에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충청남도 태안군 안면도 ⓑ면적:9,567㎡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이곳에서 모감주나무와 함께 자라고 있는 식물로서는 소사나무, 졸참나무, 신나무, 털고로쇠, 소태나무, 팥배나무, 검양옻나무, 음나무, 고로쇠나무, 새머루, 왕머루, 계요등, 칡, 노박덩굴, 사위질빵등이다.
제371호 - ⓐ소재지:경상북도 포항시 발산리 ⓑ면적:9.917㎡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영일 발산리의 모감주나무, 병아리꽃나무 군락지..)
한여름에 황금빛 꽃을 감상할 수 있고 세모꼴의 초롱같은 열매가 주렁주렁 열리고 루비빛으로 물드는 단풍도 화려하다.
▶생태적 특성: 안면도 승언리의 모감주나무 군락은 바닷가에 발달해 있는데 이것을 보면 바닷물 또는 바닷바람에 견디는 힘이 강한 것 같다. 그러나 대구시 교외 6-7그루의 큰 나무가 자라고 있는 것을 보면 땅 힘이 좋고 어느 정도 습기가 유지되는 곳에서 잘 자란다. 대구에 있는 나무 가운데 큰 것은 가슴 높이 줄기 지름이 약 40-45cm, 나무 높이 약 15m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했다. 언덕 길가에 서 있어서 줄기가 비스듬히 누워 있고, 6월 하순경 노란 꽃이 만개해서 장관을 이루고 있었다.
English Contents
Distribution
Japan , Korea(Hwanghae-do, South Gangwon-do)
Leaves
Alternate, odd-pinnate, leaflets 7-15, ovate oblong, back side veins have hairs, margins have dull and irregular teeth
Inflorescences
Panicles, terminal, have short and diffuse hairs
Habit
Strong to wind and salt, dry. Like sunny place
English common name
Goldenrain tree
Life cycle
Deciduous broadleaf subtree
Flowering
Jun.-Jul.
Height
8-10m
Root
Have tap roots and lateral roots
Flower color
Yellow
Fruit
Capsule, ovate or broadly ovate, dark green, woody, loculicidally dehiscent, brown when mature, apex acuminate, conspicuous lenticels, glabrous, endosperm absent
Use
Planting for ornamental, Seeds used for make Buddhist rosary, soap material. Flower and leaves used for dye. Flowers used for medicine(hepatitis, indigestion, enteritis etc.)
이미지 갤러리
- 촬영일자
-
1999.03.31
- 촬영장소
- 촬영자
- 사진설명
- 모감주나무의 꽃 이미지 입니다.
-
세밀화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