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라는 것은 여러 사물이 공통적으로 갖는 특징을 기본으로 사물들을 일정한 규칙에 의해 배열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또한 이 개념은 인간이 인식하고 있는 사물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요약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특정 분류군내에 소속된 구성원이 가지는 속성을 말하며 다른 종류의 생물과는 구분되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나비목 곤충은 날개에 날개가루를 가지는 형질로, 파리는 날개가 1쌍인 형질 등으로 다른 종류들과 구분됩니다.
· 이름이 아직 정해져 있지 않은 곤충을 대상으로 이름을 부여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하나의 곤충을 동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곤충에 대한 도감을 이용하여 표본과 대조하는 방법,분류 검색표와 기재문, 생식기의 해부검경, 그리고 표본의 종동정의 확정을 위해 대조표본을 검경하는 등 분류학적 작업을 필요로 합니다.
· 생물을 동정하여 각각의 유연 관계에 의해 그룹으로 묶어 분류학적 위치에 맞추어 배열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분류군이란 분류의 단계에서 정해진 하나의 단위로 인정되는 생물군을 말합니다.
분류군을 분류학적으로 구분 지을 때 이들이 속하는 계급단계를 의미합니다
지구상의 생물을 인류가 부르는 방법은 나라와 민족에 따라 다양합니다. 따라서 이름을 통일하여 쓸 수 있는 규칙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런 통일된 생물의 이름을 학명이라고 합니다. 학명은 린네으 이명법 체계를 다르며 ,이명법이란 첫 번째 이름은 해당종이 소속된 속명으로, 두 번째 이름은 생물의 종명으로 구성시킵니다.
» 곤충류는 날개의 유무에 따라 날개가 없는 무시아강과 날개가 있는 유시아강으로 구분되며, 무시아강은 5목(目)으로 구분됩다. 또 유시아강은 어릴 때에 날개의 싹이 보이며 불완전변태를 하는 외시류와 유충이 성충과는 전혀 달라 완전변태를 하는 내시류로 구분된다. 학자에 따라서는 무시아강의 낫발이목, 좀붙이목, 톡토기목 등 3개 목(目)을 분리하여 톡토기강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시아강은 날개를 겹쳐접지 못하는 고시류와 날개를 겹쳐접는 신시류로 구분되기도 합니다.